반응형
예방 방법
손목터널증후군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일상 속 몇 가지 습관만 바꿔도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증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손목 중립 자세 유지
- 컴퓨터,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손목과 손이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합니다.
- 손목을 꺾거나 꺾인 채 오래 작업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손목 받침대, 키보드 팜레스트 등을 활용해 손목 하중을 분산시킵니다.
2. 올바른 작업 환경 조성
- 의자, 책상 높이를 조절해 손과 손목이 아래팔과 일직선이 되게 합니다.
- 1시간 이상 연속 작업 시, 10분 정도 손목 스트레칭 및 휴식을 취합니다.
3. 손목 스트레칭과 가벼운 운동
- 손목 돌리기, 손가락 접기, 손바닥 스트레칭 등 관절과 인대 유연성을 높이는 동작을 자주 해줍니다.
- 팔굽혀 펴기처럼 손바닥을 펴는 동작도 증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4. 생활습관 관리
- 빨래 비틀기, 걸레 짜기 등 손목에 무리를 주는 동작은 피하고 양손을 번갈아 사용합니다.
- 스마트폰, 태블릿 등은 한 손에 오래 들지 말고 받침대를 이용하세요.
치료법
손목터널증후군은 초기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질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초기·경증)
- 손목 보조기 착용: 손목을 곧게 고정해 정중신경의 압박을 줄입니다.
특히 밤에 착용하면 저림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 신경통 완화 약물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완화합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를 손목터널 부위에 주입해 염증을 줄입니다.
중등도 이하일 때 단기간 효과적입니다. - 물리 치료: 온찜질, 초음파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손목/목 마사지 등으로 증상 완화.
2. 수술적 치료 (중증·신경 손상 시)
- 감각 저하, 손가락 근육 위축 등의 진행된 신경 손상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
- 수근관 인대 절개술: 손목터널을 덮고 있는 인대를 절개해 신경 압박을 해소합니다.
- 관절내시경 수술: 절개 범위가 작고 회복이 빠르며, 일상 복귀가 용이합니다.
자주 실천할 수 있는 스트레칭
하루 5분만 투자해도 손목터널증후군 예방과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손목 꺾기:
손바닥을 천천히 몸 쪽으로 당겨 5초 유지 → 손등을 위로 꺾어 5초 유지.
각 동작 10회 반복 - 공 쥐기:
말랑한 고무공을 손에 쥐었다 폈다 10회.
하루 3세트 반복 - 손가락 접기:
손가락을 관절별로 접는 훈련 (90도 → 두 마디 → 주먹). 각 단계 5초간 유지.
각 동작 20회 반복
예방이 최선의 치료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중년 이후 더욱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 예방: 손목 중립 자세, 스트레칭, 올바른 작업환경, 손목 부담 줄이기
- 치료: 초기엔 부목·약물·물리치료, 중증 시 수술적 치료 고려
손목 저림이나 통증이 반복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손목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지금 시작하는 작은 습관이 앞으로의 삶의 질을 좌우합니다.
반응형
'건강생활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간단하게! 홈트용 스트레칭 루틴 정리 (4) | 2025.08.04 |
---|---|
꽃가루 많은 요즘, 접촉성피부염 관리법 A to Z (1) | 2025.05.21 |
턱관절 통증 완화 스트레칭 모음 (0) | 2025.04.29 |
여행 후 피로 쌓였을 때, 이렇게 먹어보세요 - 회복을 돕는 식단 가이드 (0) | 2025.04.19 |
40대 여성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 갱년기 자가 진단표 (0) | 2025.04.19 |